안녕하세요. 스마트맨 클리닉 비뇨기과 전문의 소병국입니다.
혈뇨는 육안적 혈뇨와 현미경적 혈뇨로 구분할 수 있으며 질문자님처럼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육안적 혈뇨의 증상은 한 번 나타나더라도 자세한 검사가 필요한 중요하고 위험한 징후입니다.
육안적 혈뇨와 함께 동반되는 통증의 여부, 혈전(피덩이)의 동반 여부, 배뇨시 처음에 나타나는지
끝에 나타나는지 또는 처음부터 끝까지 혈뇨가 있는지 등의 여부 등의 자세한 문진을 통해 원인을 어느정도 예측하고 필요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뇨의 흔한 원인으로는 콩팥(신장), 방광의 염증이나 감염, 손상, 결석, 종양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자세한 검사는 혈뇨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소변검사, 요세포검사,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 CT urograhpy, 필요하다면 방광내시경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나이와 병력을 고려할 때 반드시 다니시는 대학병원 비뇨기과 전문의
진료를 받으시고 검사 - CT urography 및 추가적인 검사를 받으시길 권해 드립니다
사족으로 아프지 않고 다음에는 소변에 피가 보이지 않는다고 안가시면 절대 안됩니다.
한국사람들은 본인이 느끼는 증상과 눈에 보이는 소견의 여부와 정도를 가지고 본인들 스스로 질병의 여부와 정도를 판단하시는 데 반드시 가세요
혈뇨는 교과서에 단 한줄 시작합니다.
한차례의 육안적 혈뇨 소견이 있으면 반드시 자세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라고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